전립선 검사라니… PSA 수치는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까? 궁내청은 천황이 전립선 MRI 검사를 받아 전립선 비대가 확인됐다고 10일 발표했습니다. ‘특별히 우려되는 소견은 없었다’고 하는데, 이번 달 중에 만약을 위해 조직검사를 받겠다고 합니다. 전립선 검사는 어떤 것인지 게이오 대학의 비뇨기과 교수, 집주인 모토히사 씨에게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대담자·토네가와 마사키)■「4」가 기준이지만
-전립선의 검사는 어떤 것입니까?널리 실시되고 있는 것이 혈액을 조사하다”PSA검사”입니다. 암이 있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하면 조직이 깨지고 전립선에서 만들어진다”PSA”라는 단백질이 혈액 중에 생깁니다.그 수치를 알아보는 것이 PSA검사입니다.1밀리리터당 4나노 그램을 넘으면 전립선에 암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의심하고 정밀 검사의 실시를 검토합니다.수치는 전립샘 비대증이 있어서도 높아질 경우가 있습니다.-수치가 “4”보다 낮으면 안심해도 된다?일반적으로는 그렇습니다.다만 가족을 전립샘암과 유방 암 난소 암을 앓았던 사람이 있다(가족력이 있다)의 경우는 “3”정도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곧 정밀 검사를 할지는 의사에게 판단이 달라집니다.3~4개월마다 수치의 변동을 보고 오르고 있으면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PSA검사는 얼마나 자주 받으면 좋겠죠?통상은 50살 되면 한번 받아 보면 좋을 것입니다.”2″보다 낮으면 매년을 필요는 없습니다.”2″를 초과하면 연 1번은 받아 모습을 봅시다.가족력이 있을 경우는 40살이 되면 받기를 추천합니다.마찬가지로,”2″보다 낮으면 매년 받지 않아도 좋고,”2″을 넘으면 나이 1회 받는 것이 바람직 ■ 정밀 검사는 “바늘”–정밀 검사는 어떤 일을 합니까?PSA검사에서 “4”를 넘어 있거나”3″정도로도 가족력이 있거나 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전립샘 생검”을 실시합니다.어느 타이밍에 생검을 할지는 의사의 판단에 따릅니다.”10″이상의 경우는 거의 이루어집니다.생체 검사는 가느다란 바늘을 찌르고 초음파 화면을 보면서 조직을 채취합니다.요즘은 12~14곳이나 바늘을 찌르는 것이 많습니다.조직에 암이 있는지 알아보고 어떤 경우는 진행하기 쉬운 타입인지 확인합니다.생체 검사를 하기 전 등에 MRI검사를 하고 암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많아졌습니다.다만, 화상상에 비치지 않아도 암이 잠복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안심할 수 없습니다.■ 로봇 수술이 주류에-암이 발견된 경우, 어떻게 합니까?전립선 암은 비교적 진행이 늦게 암의 상태에 따라서는 정기적으로 PSA검사를 하면서 모습을 본다”감시 요법”가 실시됩니다.특히 75세 이상의 경우는 보호 요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PSA치가 올라가거나 암이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되거나 한 경우는 실제로 치료를 합니다.–전립샘암 치료법을 가르치세요.암이 전립선 안에 머물고 있는 경우는 전립선 절제술을 실시합니다.지금은 로봇 수술이 주류입니다.환자의 복부에 몇가지 작은 구멍을 뚫고 내시경이나 제거 기구를 넣습니다.수술실에는 환자가 옆으로 향하다 침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상자 모양의 장치가 있습니다.의사는 장치에 구부리듯이 앉아 눈앞의 모니터를 보면서 환자의 뱃속에 넣은 기구를 조종합니다.수술을 하면, 많은 경우, 요실금이나 발기 장애 등 후유증이 잠시 계속됩니다만, 로봇 수술은 기존 수술에 비해서 회복이 빠르다고 하고 있습니다.■ 치료의 선택은 다수-수술 이외의 방법은 있습니까?전립선 암의 치료에는 수술 외에도 방사선 치료, 항암제 치료, 호르몬 요법이 있고, 선택 사항이 몇가지 있습니다.방사선 치료는 체외로부터 방사선을 날려”외부 조사 요법”과 방사성 물질을 담은 작은 그릇을 사들인다”밀봉 초 선원 요법”이 있습니다.약물 요법에서는 항암제 외에 호르몬제를 이용한 치료법도 있습니다.전립선 암의 증식에 관련된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합니다.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없이 끝나다 이미지가 있지만 열이 나거나 활력을 잃는 등 부작용이 생깁니다.또 호르몬제를 사용하면 곧 약이 듣지 않게 됩니다.암의 진행 등 질병 상태를 가려서 적절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전립선 암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전립선 암을 확실히 막는 방법은 없지만, 지방분을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식생활에 주의하고 적당히 몸을 움직이도록 하세요.그 다른 병 역시 마찬가지지만 평소 일상 생활을 돌보는 일로 발병 위험을 높이지 않게 연결됩니다.2022년 11월 11일 요미우리 신문